목록전체 글 (11)
미국 사는 수스의 코딩

Git Command 명령어 git init : Git repository를 directory에 초기화 git add : 수정된 소스 코드를 Staging Area로 추가 git commit -m "any message": Staging Area에 추가된 소스 코드들을 Local Repository에 추가 (메세지 추가할 수 있다) git push : Local Repository에서 변경된 파일들을 Remote Repository에 넣음 git pull : Remote Repository에 모든 변경된 파일들을 내 local Repository에 끌고 옴 git clone : 현재 있는 directory에 url로 명시되어있는 Repository의 복사본을 저장 git status : working d..

현직 개발자로서, 내가 알고 있는 지식을 다시 정리하기 위해 포스팅을 시작합니다. Git 이란 컴퓨터에 있는 변경된 파일을 추적하고 여러 명의 사용자들 간에 해당 파일들의 작업을 조율하기 위한 스냅샷 스트림 기반의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Git을 쓰는 이유 : 협업성 : 회사에서 하나의 프로젝트를 여러 명이 공동작업을 해야 하는데, 각각 맡은 파트를 각자 작업하고 업데이트된 코드를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함이다. (서로 업데이트한 로그를 확인할 수 있다) 복원성 : 업데이트한 로그들이 남아있기 때문에, 누군가 잘못된 코드를 업데이트할 경우 복원이 가능하다. Git 구성 요소 Git Repository : 파일이나 폴더를 저장/보관해 두는 곳 Remote Repository(원격 저장소) : Git 서버..

안녕하세요. 소개 현재 미국 캘리에서 Data Scientist로 직장생활하고 있는 수스입니다. 고등학교때 미국에 와서 2017년에 미국 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기업에서 일을 쭉하고 있습니다. Data Scientist로서 현재하고 있는 일은 데이터 분석, 데이터 가공, 머신러닝등등 하고 있습니다. 목적 이 블로그에서는 제가 가지고 있는 지식을 정리해두고자 하는 취지에 만들게 되었습니다. 목표 Data Scientist로 일을 하다보니, Software Engineer로 가고 싶어져서, 그쪽으로 이직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블로그 계획 현재 Git -> SQL -> Python -> Java 순으로 포스팅을 할 계획입니다. 그리고 독자분들이 많이지고 미국에서의 일이라던가 궁금한 것이 계시다면, 그것에 대해..